건설 56

아파트 하자보수의 모든 것-1 | 하자보수 시스템에 대한 이해

부제 : 하자 점검 하기 전 부위별 용어 꼭 알아두고 가세요 아파트 하자보수가 잘 안되어 답답해 하시는 분들이 많은데, 그 분들 중 조금이라도 이 글과 영상이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마음으로 작성합니다. 하자점검 및 보수절차 보통 입주 2개월 전 쯤 건설사는 "입주자 사전점검" 행사를 진행하고, (2020년 부터는 법제화하여, 의무적으로 입주자 사전점검을 실시하도록 한다고 합니다.) 이 때, 분양받은 집에 방문하여 조망도 보고, 치수도 재고, 하자도 체크해서 제출하게 됩니다. 그리고 대형건설사 기준으로 하자 체크는 해당 단지의 입주시작 후~실제 이사일 전에도 방문하여 체크하고 체크리스트를 제출할 수 있게 하기 때문에, 입주개시일 이후 언제든 가서 추가적으로 체크할 수 있다고 알고 계시면 됩니다. 다만, 가..

MAT기초 공기 산정, 공사기간 검토

터파기를 하면서 기초공사도 진행합니다. 가장먼저 파는 곳은 아마도 EV PIT이거나, 집수정 부분이 될 것입니다. 기본순서는 터파기를 하고, EV PIT를 파고, EV PIT구간 기초 타설 하고, 해당구간 기초 바닥 타설 후 EV PIT구간 벽체 형성(철근, 거푸집) 그리고 메인 구간 기초 형성(철근, 거푸집)을 한 후 EV PIT구간 벽체 및 메인구간 기초를 동시 타설하게 될 것입니다. 자신없으면, EV PIT구간 벽체도 한번 치고, 메인구간 기초는 별도로 타설하겠지요.. 보통 기초 조닝을 나누는 기준은 아래와 같습니다. 1500m2 기준 그리고, 기초 두께를 감안해서 콘크리트 물량을 산정하고, 펌프카가 몇대 앉아서 칠 수 있는지를 계산한 후 펌프카가 하루에 타설 가능한 조닝을 해야겠죠. 예를 들어, ..

건설/공정관리 2021.01.13

해외 건설 현장 공정률 영어로 어떻게 표현할까

해외 건설현장 공정률 용어, 영어 영문 표기 방법 * 공정율은 틀린 표현입니다. 공정률(O) '률'의 앞 음절이 모음으로 끝나거나, 'ㄴ' 받침으로 끝날 경우 '율'을 쓸 수 있음 ▶ 옳은예) 취업률, 사망률, 감소율, 소화율, 할인율 해외 현장에서 공정률을 영어로 표현할 때 고민되는 세부적인 포인트 들이 있는데, 제가 지난 5년간 겪었던 노하우를 총정리해 보겠습니다. 공정률은 영어로 공정률은 영어로 Progress (진전, 진척) 를 씁니다. 월간 공정률, 주간 공정률은 Monthly Progress Weekliy Porgress 이런 방식으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해외 건설현장에서 공정률 보고 양식 보통 주간/월간 회의 자료에서 공정률을 보고 하게 되는데요, 가장 기본적인 공정률 표기 방식을 한글과 ..

건설 2020.11.10

공정률(공정율) 표기 법

* 공정율은 틀린 표현입니다. 공정률(O) '률'의 앞 음절이 모음으로 끝나거나, 'ㄴ' 받침으로 끝날 경우 '율'을 쓸 수 있음 ▶ 옳은예) 취업률, 사망률, 감소율, 소화율, 할인율 건설업계에서 공정률은 영어로 Progress 라고 씁니다. 공정률 표기 법 가장 기본적이고 직관적인, 꼭 필요한 내용만 넣을경우 아래의 표와 같이 공정률을 표기할 수 있습니다. 저는 심플하고 직관적인 보고가 가장 좋다고 생각하지만, 이 보고를 보는 다양한 시각이 있을 수 있겠죠. 이번주 공정률이 계획 얼마인데, 실적 얼마다. 이게 공정률 표기에 가장 기본적 내용이라고 할 수 있겠죠. 아래는 조금 디테일한 공정률 표기법 입니다. 지난주 공정률은 얼마였고, 이번주 얼마 증가해서, 이번주 누적 공정률은 얼마다. 이렇게 말하는 ..

건설/공정관리 2020.11.09

착공준비 시점에 하는 일 및 가설공사

. "현장개설" 입장에서 착공준비 시점에 하는 일 1. 측량 2. 외곽휀스 3. 가설사무실 (식당, 현장근로자 복지시설(샤워 및 탈의, 근로자화장실 등)) 4. 세륜시설 (가설도로) 5. 가설용수 6. 가설전기 인입 7. 업체선정 등 . "수주공기산정(수주 공사기간 산정)"의 입장에서 공기 산정 1. 상기 "착공준비" 사항들은 착공전에 완료하는 것으로 공기 산정함 2. 착공전 철거공사가 있는 경우, 철거공사 기간에 가설공사 및 토공사 업체선정을 전제로 착공준비 기간 미적용 3. 가설 흙막이(CIP 등)를 위한 장비조립이 필요한 경우 불능일 보정 없이 7일 산정 => 장비조립 및 작업준비 ​ * 작업가능일 * 불능일 : 작업이 불가능한 날(법정공휴일, 우천, 폭설 등)

건설 2020.10.15

에폭시 페인트/라이닝 및 수성페인트 도장 시공 순서 및 생산성

에폭시 페인트/라이닝 및 수성페인트 도장공사 시공 시퀀스에 대해 기록해 둠. . 배풍 시설 설치 (사전작업) 도장공사 작업구간은 흔히 말하는 신나 냄새가 많이나므로, 특히 작업공간 흡연 등 화재에 주의해야 하며, 작업 환경개선을 위한 배풍시설이 꼭 필요하다고 생각함. . 바닥 에폭시 페인트 / 라이닝 시공순서 0. 바닥 도장인 만큼, 작업구간 및 주변 자재를 완벽하게 치우고 청소까지 준비되어 있어야 한다. 0. 바닥 바탕면 함수율 및 온도 체크 또한 필요하다. 상기 준비가 완전한 상태에서 1. 바탕면 처리 2. 프라이머 (하도) 3. 크랙부위 퍼티 4. 에폭시 페인트 또는 라이닝 등등 . 바닥 에폭시 라이닝 팀 구성 팀 특성에 따라 다를 수 있음. 건축면적 약 38,500m2 인 경우 18개 조닝으로 구..

건설/공정관리 2019.11.29

건설 영어, 건축 용어 정리 (미국 현장 회의자료 사용 영어)

건설업계에 일하면서 해외 현장 업무를 하게 되거나, 회의 자료 등을 영어로 써야 할 때 사전으로 찾는 건 한계가 있었다. 뜻은 동일하더라도 실제 미국 건설업계에서 이 단어를 쓸지 긴가민가 하기 마련. 미국 현장에서 사용했던 월간회의자료를 기준으로 정리함. 계약 (Contract) 발주처 : Employer 또는 Owner 시공사 : Contractor (물론 계약자가 시공사인 경우겠죠. 하도급 업체는 Sub Contractor를 쓰면 됩니다. 회의 자료 (Meeting Agenda) 제38차 월간 공정 회의 : 38th Monthly Construction Coordination Meeting 일반사항, 공통사항 : General 시공자 보고 : Contractor Report 기타 사항 : Other ..

건설 2019.04.05

[루씨아키]09_골조공사 사이클(공정) 한층에 소요되는 기간과 과정 설명(아파트 기준, 동영상설명 포함)

거리를 다니다 보면, “이 아파트가 벌써 저만큼 올라갔어?”라고 느낄 때가 있죠. 대부분의 건축물은 크게 구조물 공사와 마감공사로 나눌 수 있을 텐데, 아파트 구조물 공사 기준으로 한층에 얼마나 걸리는지 정리해 보았습니다. 개인적인 경험에 따른 의견입니다만 크게 틀리지 않다고 봐도 무방합니다. 물론 한층에 2세대 짜리냐, 4세대 짜리냐에 따라 약간의 차이는 있을 수 있겠습니다. 아파트 골조, 한층에 얼마걸려? 날씨 등 문제없이 모든 일이 순조롭게 진행 될 경우, 하절기 6일 동절기 9일~10일 보통의 경우 보통 한달에 3.5층 정도 (층당 8일 정도) 동절기 한달에 2층 정도 (층당 15일 정도) * 기준층 기준 (2층 이상~최상층 아래층 까지) 제 경험은 1층은 1층만 한달정도, 최상층은 20일 정도 ..

건설/공정관리 2019.03.08

[루씨아키]층간소음 관련, 아파트 사기전에 바닥(슬래브)두께 확인 한번 해보세요.

95년에 준공한 부모님집(33평)도, 99년에 준공한 지금 살고 있는 집(35평)도 거실에서 살짝만 '쿵'해도 집이 울리는 것 같고, 바닥이 전체적으로 떨리는 느낌이 듭니다. 어른이 마음먹고 "꽝!"하고 뛰면 바닥이 덜덜덜 떨리는 것이 약간 무너질 것 같은 느낌이 들죠. 아파트를 짓는 일을 했던 사람으로서, 그런 느낌을 받을 때 마다 슬래브 두께를 떠올리는데, '층간소음'과 '슬래브두께'는 밀접한 관계가 있으니 많은 분들이 아시는 게 좋겠다 싶어 오늘 간단히 정리합니다. '슬래브(slab)' 가 뭐여? 아파트 3층에 산다고 하면, 3층 바닥에 식탁도 놓고, 가구도 놓고, 사람도 서 있을 수 있도록 (구조적으로)버티는 바닥. 그거시 슬래브 입니다. 단면으로 보면, 아래 사진의 1번이 슬래브죠. 아파트(공동..

건설 2018.11.28

[루씨아키]힐티와 보쉬 (Hilti & Bosch) 그리고 Inspection에 대하여

일상적 글쓰기의 일환으로 오늘의 배움을 기록합니다. 힐티 와 보쉬 개인적으로 힐티는 건설자재 부착공법의 최강자로 알고 있고, 유사 기업으로는 잘알려진 보쉬(Bosch)와 같은 회사가 있습니다. 오늘 힐티쪽 관계자를 만날일이 있어서 물어봤어요."힐티는 장사 잘 돼요?"했더니, B2B(기업 대기업)만 하기 때문에 매출규모는 크지 않지만, 잘되고 있다고. 개인적으로 이미지상 힐티가 보쉬보다 더 고가이고 기술도 더 뛰어나다는 인식이 있었는데, 생각해 보니 '보쉬' 처럼 소비자에게 직접 판매하는 건 하지 않는 것 같다. 물론 네이버 쇼핑 같은 곳에서 '힐티 케미칼앙카'치면 검색해서 살 수 는 있지만, 힐티 스스로 B2C 자체를 하지 않고 있다는 것. 지금 힐티의 국내 연 매출규모가 8~9백억대 정도라고 합니다. ..

건설 2018.11.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