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 56

흙막이 및 터파기 공사기간 산정 방법 (H-Pile + 토류판 + 어스앙카 공법)

적정 공사기간을 산정하는 것은 이제 의무화 되었습니다. 특히 적정공기 산정을 할 때, CP산정에 매우 중요한 토목공사인 흙막이 및 터파기 공사기간을 산정하는 방법을 정리합니다. 목차 공기산정 기준 공법 흙막이 벽체형식 분류 : 엄지말뚝 + 흙막이판(H-Pile+토류판) 지지구조 : 지반앵커공법 (어스앙카공법) H-Pile+토류판 개요 공사부지 위에서 기본적인 정지작업 후 파일(흙막이+PRD)을 시공합니다. 1단굴착을 하고, 토류판을 시공하여 부지외 흙이 무너지지 않도록 토류판을 시공하여 흙막이를 합니다. 2단굴착을 진행합니다. 반복 터파기 시공 Cycle 터파기 시공 싸이클은 1단당 7일로 계산합니다. 내용 작업일수(Working Day) 터파기 1일 어스앙카 천공 및 그라우팅 1일 띠장 및 양생 4일 ..

건설/공정관리 2024.03.14

출역인원 vs 출력인원 // 출력일보 or 출역일보

건설현장에서 작업에 투입된 인원수를 말할 때, "출역인원" 이라고 말합니다.현장에서 이거 잘 모르는 직원들이 너무 많아서 뭐가 옳은 맞춤법인지 한눈에 말씀드릴게요!  목차 출역인원 vs 출력인원 "출역인원" 이 맞습니다.   출역일보 vs 출력일보 "출역일보" 가 맞습니다. "출역"의 뜻 토목이나 건축 따위의 공사에 동원되어 나감. "출력"의 뜻 어떤 일에 필요한 돈이나 물자 따위를 내놓음컴퓨터 등의 장치가 입력을 받아 외부로 결과를 내는 일. 아웃풋   현장에서 많이 틀리는 단어, 도움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건설 2024.03.14

CIP공법 흙막이 공사기간 산정 방법

흙막이 공법 중 흙막이 강성이 좋으며, 차수가 가능한 공법인 CIP 공사 기간을 산정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목차 CIP 공법이란? CIP(Cast In Place) 공법은 현장타설 콘크리트 말뚝(Cast In Place Pile)의 약어로, 주열식 현장타설 말뚝 중 하나입니다.지반 천공장비(오거)를 사용하여 일정 심도까지 천공 후 토사를 배출시키고 공내 H-Pile 또는 철근망을 삽입한 뒤 콘크리트 또는 모르타르를 타설 하는 공법입니다. CIP 공법의 특징 불규칙한 굴착 평면에서도 적용이 가능합니다.도심지 근접 시공 현장에서의 민원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인접 구조물과 지반에 대한 영향을 최소화합니다.장비가 소규모이며, 벽체의 강성이 우수하여 흙막이 벽의 토압 지지력이 우수합니다.CIP 공법은 ..

건설/공정관리 2024.03.13

보할공정표 S커브(S-Curve) 엑셀로 작성하는 방법 - 엑셀 파일 첨부

보할공정표에 월별(주별) 엑셀로 S커브를 작성하는 방법을 공유 드립니다.S-Curve 는 계획공정률 이 될 수 있고, 동시에 원도급사 연간 자금집행 계획의 기준이 되므로 공정관리에서 매우 중요한 부분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목차작성전 준비 사항 월별 S-Curve를 작성한다고 가정하고 말씀드리면,기본적으로 확정된 공정표가 있어야 합니다.그리고 그 공정표를 근간으로, 월별 투입될 금액이 나와 있어야 합니다.그리고 당연히 총 공사금액은 정해져 있겠죠?확정된 계획 공정표월별 계획 투입 금액 만약 월별 계획투입 금액이 없고, 보할공정표 작성 자체가 궁금하다면 아래의 글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이 글에서는 엑셀에서 S-Curve를 만드는 기술적 부분을 작성하였습니다.보할공정표 작성법, 공정표 양식 다운로드작성방법 ..

건설/공정관리 2024.03.11

보할공정표 작성법, 공정표 양식(엑셀) 첨부

엑셀 보할공정표는 "비용일정통합관리"가 아닌 일반적인 국내 건설현장에서 많이 쓰이는 형태입니다. S-Curve를 포함한 간단한 보할공정표 제출이 필요할 경우, 이 글의 엑셀파일을 참고하셔서 만들어보시는 게 좋은 방법일 것 같습니다. 첨부된 엑셀 보할공정표를 활용해 보세요.목차보할 의 의미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율건설공사등에서 전체공정중 공정,공종별 직접공사비(자재비,직접인건비등)의 투입량에 대한 비율을 말함, 공정,공종별 진척도 관리 목적으로 많이 활용함보할공정표 공사의 진행상황을 관리하고 예측하는 데 사용되는 도구로기본적으로 공사종류, 공사일정, 공사별 보할(Weight Value), 전체 공사 계획/실적 진도율(S-Curve)를 포함합니다.공사종류공사일정공사(작업)별 보할(Weight Value)전체 ..

건설/공정관리 2024.03.08

공정관리 구현하는 방법 (공정관리 개요)

건설 산업은 프로젝트의 복잡성과 규모가 증가함에 따라, 공정관리의 중요성이 점점 더 강조되고 있습니다. 효과적인 공정관리는 프로젝트를 시간 내에, 예산 범위 내에서, 그리고 요구 사항에 맞춰 완료할 수 있는 열쇠입니다. 본 포스팅에서는 건설 공정관리를 구현하는 최신 방법과 전략을 소개하고자 합니다. 목차 1. 공정관리 란? 건설현장에서(또는 제조 현장에서) 특정한 Project를(제품을) 일정한 시간안에 가장 효율적으로 완공(생산)하기 위해, 현장의 모든 활동을 총괄적으로 관리하는 활동 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2. 공정관리 구현하는 방법 공정관리를 구현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2.1. 공정계획 작업의 순서와 시간을 명시하고, 공사 전체가 일목요연하게 나타나 있는 공정표를 작성하여 운영한다. 2.2..

건설/공정관리 2024.03.06

네트워크 공정표(Network Schedule) 란 무엇인가?

. 네트워크 공정표(Network Schedule) 네트워크 공정표는 아래 그림과 같이 각각의 액티비티가 작업의 순서대로 연결된 공정표를 뜻 합니다. 네트워크 공정표의 일반 바차트 대비 가장 큰 특징은 특정 작업의 소요일 수가 변경 되었을 때 최종 완료일(준공일)에 미치는 영향을 계산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아래 그림을 예로 들면, A작업이 늘어난 날짜만큼 D작업 소요일 수를 줄여야 할 것이고, 그렇지 못한다면 준공일은 지연되겠지요. . 그림 해설 위 그림을 해설하면 착수와 동시에 A,B,C 작업을 진행할 수 있고 D작업은 B,A 작업이 끝나야 시작할 수 있네요 E작업은 A작업만 끝나면 시작할 수 있습니다. F작업은 C작업만 끝나면 시작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각 작업별 소요일수를 산정하고, 각 작업의 ..

건설/공정관리 2024.03.05

요즘 철근, 레미콘, 고철 가격 얼마씩 해?

코로나19를 지나면서 물가가 많이 요동치고난 이후 요즘 철근, 레미콘 가격은 얼마씩 하나? 이형철근 16mm 시기 가격(kg당) 가격(톤당) 2011년 827 원/kg 827,250 원/ton 2013년 715 원/kg 715,250 원/ton 2020년 648원 648,250 원/ton 2022년(최고치, 5월) 1,212원 1,212,000 원/ton 2023년 1,030원 1,030,000 원/ton * 보통 이형철근보다 ㄱ형강이 15~20% 정도 더 비싸네 레미콘 (25-21-12) 시기 가격 2011년 54,860 원/m3 2013년 58,900 원/m3 2020년 68,435 원/m3 2022년(최고치, 5월) 85,050 원/m3 2023년 93,980 원/m3 레미콘 규격 읽는 법 25-2..

건설 2024.02.29

Project 초기 예정공정표 작성 방법 및 순서

이 글에서는 PERT/CPM 공정표 기준 공정관리가 요구되는 프로젝트의 초기 예정공정표 작성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실무 경험을 바탕으로 공정표 작성 순서, 가동률과 캘린더 작성, 공정표 작성 기준 정립방법, 액티비티의 작성, 자원(Resource)할당, S-Curve작성 등 공정표 작성하는 방법을 상세히 알려드립니다.목차초기 공정표도 입찰공정표가 있을 수도 있고, 현장사무실 개설 및 설계도면이 어느정도 나온 시점에서 현장 공사팀장이 작성하는 초기공정표도 있을 수 있는데, 이 글에서는 "입찰공정표"가 아닌, "초기공정표"에 대한 이야기를 하려고 합니다.또한 아래에 언급한 공정표 작성 방법은, 공정관리 요구수준이 높은(PERT/CPM 공정표 기준 공정관리를 요구하는) 발주처의 공사에 필요한 예정공정..

건설/공정관리 2023.06.29

[공정관리] 공정률을 계산(산정)하는 방법 (Feat.보할)

건설업 공정률을 계산하는 방법에 대해서 기록합니다.용어의 정의 요즘은 워낙에 용어 개념도 안잡힌 상태로 서로 다른 이야기를 하는 경우가 많아, 용어정의가 모든 이야기의 시작이라고 생각합니다. 공정률 : 작업 진척의 정도를 비율로 표시한 것 계획공정률 : 계획된 업무의 양 실적공정률 : 달성된 업무의 양 덧붙이자면, "공정률" 이라 함은 이미 "비율"의 의미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보할공정률"이란 말은 불필요한 의미의 중복사용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무엇으로 공정률을 산정할 것인가? 무엇(Resource)을 기준으로 공정률을 산정하면 좋을까요? 공사의 성격에 따라 다르겠지만,  이런 것들로 공정률을 산정할 수 있습니다.돈인력장비투입자재소요기간 등가장 일반적으로는 공사에 투입되는 비용(돈)을 기준으로 공정..

건설/공정관리 2023.05.16